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"Definition:위상 공간"

From Beloveds
Line 2: Line 2:
 
:# 경계의 경계는 경계를 벗어나지 못한다. 즉 $\partial \varnothing=\varnothing$이고 $\partial A\subset\partial(X-A)$이고 $\partial (A\cup \partial A)\subset \partial A$이다.
 
:# 경계의 경계는 경계를 벗어나지 못한다. 즉 $\partial \varnothing=\varnothing$이고 $\partial A\subset\partial(X-A)$이고 $\partial (A\cup \partial A)\subset \partial A$이다.
 
:# subset의 경계는 superset의 경계를 벗어나지 못한다. 즉 $A$의 subset의 경계는 $A\cup \partial A$의 subset이다.
 
:# subset의 경계는 superset의 경계를 벗어나지 못한다. 즉 $A$의 subset의 경계는 $A\cup \partial A$의 subset이다.
:# 합집합의 경계는 늘어날 수 없으나 줄어들 수 있다. 즉 합집합의 경계는 경계의 합집합의 subset이다.
+
:# 합집합의 경계는 생길 수 없으나 사라질 수 있다. 즉 합집합의 경계는 경계의 합집합의 subset이다.
  
 
이러한 $(X,\ \partial)$을 '''topological space'''(위상 공간)라고 한다. 집합 $X$의 각 subset의 boundary를 무엇으로 삼을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위상을 주면 서로 다른 위상 공간이다. 예를 들어 $\R^2$에서 사각형의 경계가 네 모서리인지는 주어진 위상에 따라서 다르다. 하지만 위상을 언급하지 않고 위상 공간 $\R^n$처럼 쓸 때에는 집합에 standard topology(표준 위상)가 주어진 것이다. 문맥에 따라서 적절한 common topology<ref>https://planetmath.org/listofcommontopologies</ref>들이 있으며 이들을 편의상 생략해 쓰고는 한다.
 
이러한 $(X,\ \partial)$을 '''topological space'''(위상 공간)라고 한다. 집합 $X$의 각 subset의 boundary를 무엇으로 삼을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위상을 주면 서로 다른 위상 공간이다. 예를 들어 $\R^2$에서 사각형의 경계가 네 모서리인지는 주어진 위상에 따라서 다르다. 하지만 위상을 언급하지 않고 위상 공간 $\R^n$처럼 쓸 때에는 집합에 standard topology(표준 위상)가 주어진 것이다. 문맥에 따라서 적절한 common topology<ref>https://planetmath.org/listofcommontopologies</ref>들이 있으며 이들을 편의상 생략해 쓰고는 한다.
Line 18: Line 18:
 
== boundary ==
 
== boundary ==
 
* $\partial A\subset\partial(X-A)$의 $A$에 $X-A$를 대입하면 $\partial(X-A)\subset\partial A$이다. 즉 여집합의 경계는 일치하므로 $A\cap\partial A=\partial A$일 때 $(X-A)\cap\partial A=\varnothing$이다.
 
* $\partial A\subset\partial(X-A)$의 $A$에 $X-A$를 대입하면 $\partial(X-A)\subset\partial A$이다. 즉 여집합의 경계는 일치하므로 $A\cap\partial A=\partial A$일 때 $(X-A)\cap\partial A=\varnothing$이다.
* $\partial A\subset A\cup\partial A$이므로 $\partial\partial A\subset (A\cup \partial A)\cup\partial(A\cup\partial A)$이고 $\partial (A\cup \partial A)\subset \partial A$에 의해서 $\partial\partial A\subset A\cup\partial A$이다. $A$에 $X-A$를 대입하면 $\partial\partial A\subset (X-A)\cup\partial A$이다. 따라서 $\partial\partial A\subset \partial A$이다. 즉 boundary는 그 자신의 경계를 온전히 가지는 집합이다.
+
* $\partial A\subset A\cup\partial A$이므로 $A$에 $A\cup \partial A$를 대입하면 $\partial\partial A\subset (A\cup \partial A)\cup\partial(A\cup\partial A)$이다. $\partial (A\cup \partial A)\subset \partial A$에서 $\partial\partial A\subset A\cup\partial A$이고 $A$에 $X-A$를 대입하면 $\partial\partial A\subset (X-A)\cup\partial A$이므로 $\partial\partial A\subset \partial A$이다.
* $A\cap\partial A=\partial A$을 만족하는 $A$를 생각할 때 $X-A\subset X-\partial A$에서 $\partial A\subset (X-\partial A)\cup\partial\partial A$이다. 그런데 $\partial A\cap (X-\partial A)=\varnothing$이므로 $\partial A\subset \partial\partial A$이고, 따라서 $\partial\partial\partial A=\partial\partial A$이다. $\partial A\neq \partial (A\cup\partial A)$일 수 있고 $\partial A\neq \partial (A-\partial A)$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.
+
* $A\cap\partial A=\partial A$때 $X-A\subset X-\partial A$이므로 $\partial A\subset (X-\partial A)\cup\partial\partial A$이다. 그런데 $\partial A\cap (X-\partial A)=\varnothing$이므로 $\partial A\subset \partial\partial A$이고, 따라서 $\partial\partial\partial A=\partial\partial A$이다. $\partial A\neq \partial (A\cup\partial A)$일 수 있고 $\partial A\neq \partial (A-\partial A)$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.
  
 
== 참고 자료 ==
 
== 참고 자료 ==

Revision as of 09:20, 10 February 2023

집합 $X$의 모든 부분 집합에 boundary가 주어지면 공간 $X$에서 어떤 부분 집합이더라도 안과 밖을 나눌 수 있는 도형으로 취급할 수 있다. boundary를 부여하는 함수 $\partial:\mathcal{P}(X)\to\mathcal{P}(X)$는 모든 $A\subset X$에 대해서 다음을 만족시켜야 한다:

  1. 경계의 경계는 경계를 벗어나지 못한다. 즉 $\partial \varnothing=\varnothing$이고 $\partial A\subset\partial(X-A)$이고 $\partial (A\cup \partial A)\subset \partial A$이다.
  2. subset의 경계는 superset의 경계를 벗어나지 못한다. 즉 $A$의 subset의 경계는 $A\cup \partial A$의 subset이다.
  3. 합집합의 경계는 생길 수 없으나 사라질 수 있다. 즉 합집합의 경계는 경계의 합집합의 subset이다.

이러한 $(X,\ \partial)$을 topological space(위상 공간)라고 한다. 집합 $X$의 각 subset의 boundary를 무엇으로 삼을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위상을 주면 서로 다른 위상 공간이다. 예를 들어 $\R^2$에서 사각형의 경계가 네 모서리인지는 주어진 위상에 따라서 다르다. 하지만 위상을 언급하지 않고 위상 공간 $\R^n$처럼 쓸 때에는 집합에 standard topology(표준 위상)가 주어진 것이다. 문맥에 따라서 적절한 common topology[1]들이 있으며 이들을 편의상 생략해 쓰고는 한다.

위상 공간에는 separation axiom[2]이나 metric, norm, inner product 등이 붙은 경우가 많다. 대표적으로 $\R^n$은 inner product를 가지며, 위상 공간만 있는 것보다 다채롭다. 위상은 이들을 받치는 뼈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.

open set

위상 공간 $X$의 topology(위상)를 정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다. boundary를 부여하는 함수 $\partial$을 $X$의 위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. 그런데 boundary, open set, closed set, neighborhood, closure, interior 등 위상 공간에서 나오는 기본 요소들 가운데 동치인 조건들로 하나만 정의하면 자연스럽게 나머지 모두를 정의할 수 있다. 일반적으로는 boundary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집합, 즉 open set(열린 집합)들의 집합을 $X$의 위상이라고 한다. 조건이 간결하며 function을 만들기보다 집합의 원소를 직접 넣는 편이 편할 수도 있다.

  1. $\varnothing,\ X$는 open set이다.
  2. open set의 유한 교집합은 open set이다.
  3. open set의 유한, 무한 합집합은 open set이다.

교집합과 합집합에 관한 조건이 다르다는 사실은 함수의 극한과 연결지을 수 있다. $\R^n$의 열린 집합 안에서는 어느 정도로만 움직이게 할 때 열린 집합을 벗어날 수 없도록 하는 작은 움직임을 정할 수 있지만, 닫힌 집합 안에서는 경계에 있다면 벗어날 수 있다.

boundary

  • $\partial A\subset\partial(X-A)$의 $A$에 $X-A$를 대입하면 $\partial(X-A)\subset\partial A$이다. 즉 여집합의 경계는 일치하므로 $A\cap\partial A=\partial A$일 때 $(X-A)\cap\partial A=\varnothing$이다.
  • $\partial A\subset A\cup\partial A$이므로 $A$에 $A\cup \partial A$를 대입하면 $\partial\partial A\subset (A\cup \partial A)\cup\partial(A\cup\partial A)$이다. $\partial (A\cup \partial A)\subset \partial A$에서 $\partial\partial A\subset A\cup\partial A$이고 $A$에 $X-A$를 대입하면 $\partial\partial A\subset (X-A)\cup\partial A$이므로 $\partial\partial A\subset \partial A$이다.
  • $A\cap\partial A=\partial A$일 때 $X-A\subset X-\partial A$이므로 $\partial A\subset (X-\partial A)\cup\partial\partial A$이다. 그런데 $\partial A\cap (X-\partial A)=\varnothing$이므로 $\partial A\subset \partial\partial A$이고, 따라서 $\partial\partial\partial A=\partial\partial A$이다. $\partial A\neq \partial (A\cup\partial A)$일 수 있고 $\partial A\neq \partial (A-\partial A)$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.

참고 자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