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"Definition:위상 공간"

From Beloveds
 
(4 intermediate revisions by the same user not shown)
Line 59: Line 59:
 
Hausdorff는 근방을 통해서 위상을 정의하였는데 본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여야 위상 공간이라고 했다.<ref>https://archive.org/details/grundzgedermen00hausuoft</ref>
 
Hausdorff는 근방을 통해서 위상을 정의하였는데 본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여야 위상 공간이라고 했다.<ref>https://archive.org/details/grundzgedermen00hausuoft</ref>
 
: 점을 공유하지 않는 두 근방이 존재한다. 즉 모든 점 $x,\ y$에 대해서 $x\neq y$이면 $N_x\cap N_y=\varnothing$인 $N_x,\ N_y$가 있다.
 
: 점을 공유하지 않는 두 근방이 존재한다. 즉 모든 점 $x,\ y$에 대해서 $x\neq y$이면 $N_x\cap N_y=\varnothing$인 $N_x,\ N_y$가 있다.
이러한 위상 공간을 '''Hausdorff space'''(하우스도르프 공간) 또는 '''$T_2$ space'''라 한다. 모든 superset들이 filter 전체를 이루는 coinitial set을 filter basis라 할 때 Hausdorff space는 모든 proper filter의 filter basis가 각각 $\mathcal{N}_x$들 가운데 하나 이하의 filter basis를 subset으로 가진다. 즉 proper filter의 limit가 존재하면 유일하다.
+
이러한 위상 공간을 '''Hausdorff space'''(하우스도르프 공간) 또는 '''$T_2$ space'''라 한다. 모든 superset들이 filter 전체를 이루는 coinitial set을 filter basis라 할 때 Hausdorff space는 모든 proper filter의 filter basis가 하나 이하의 $x$에 대해서 $\mathcal{N}_x$filter basis를 가진다. 즉 Hausdorff space에서 proper filter들은 limit가 존재하면 유일하다.
  
모든 maximal proper filter의 filter basis가 각각 $\mathcal{N}_x$들 가운데 하나 이상의 filter basis를 subset으로 가지는 위상 공간을 '''compact space'''라 한다. 즉 compact Hausdorff space는 ultrafilter의 limit가 유일하게 존재한다.<ref>https://ncatlab.org/nlab/show/compactum</ref> compactness는 일종의 weak finiteness로 생각할 있지만<ref>https://www.math.ucla.edu/~tao/preprints/compactness.pdf</ref> Nicolas Bourbaki는 compact Hausdorff이어야 compact space라고 했다.<ref>https://encyclopediaofmath.org/wiki/Quasi-compact_space</ref>
+
모든 maximal proper filter의 filter basis가 하나 이상의 $x$들에 대해서 $\mathcal{N}_x$filter basis를 가지는 위상 공간을 '''compact space'''라 한다. 즉 compact Hausdorff space에서 ultrafilter들은 limit가 유일하게 존재한다.<ref>https://ncatlab.org/nlab/show/compactum</ref> compactness는 finiteness에서 discreteness를 나누어 내고 남은 성질처럼 여길 있다.<ref>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Pontryagin_duality</ref> 대개는 공간 전체를 집합들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때, 그것이 가능한 어떤 open set들의 집합이더라도 무한 합집합을 쓸 필요가 없으면 compact space라고 한다. topological property로서 다양한 종류의 compactness가 있다.<ref>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Topological_property, https://encyclopediaofmath.org/wiki/Quasi-compact_space, https://math.stackexchange.com/questions/485822/why-is-compactness-so-important, https://math.stackexchange.com/questions/3314864/could-i-have-come-up-with-the-definition-of-compactness-and-connectedness</ref>
  
 
== 연속 함수 ==
 
== 연속 함수 ==

Latest revision as of 22:06, 5 June 2024

집합 $X$의 모든 부분 집합에 boundary가 주어지면 공간 $X$에서 어떤 부분 집합이더라도 안과 밖을 나눌 수 있는 도형처럼 취급할 수 있다. boundary를 부여하는 함수 $\partial:\mathcal{P}(X)\to\mathcal{P}(X)$는 모든 $A\subset X$에 대해서 다음을 만족시켜야 한다:

  1. 경계의 경계는 경계를 벗어나지 못한다. 즉 $\partial \varnothing=\varnothing$이고 $\partial A\subset\partial(X-A)$이고 $\partial (A\cup \partial A)\subset \partial A$이다.
  2. subset의 경계는 superset의 경계를 벗어나지 못한다. 즉 $A$의 subset의 경계는 $A\cup \partial A$의 subset이다.
  3. 합집합의 경계는 생기는 부분이 없으나 사라지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. 즉 $\partial(A\cup B)\subset \partial A\cup \partial B$이다.

이러한 $(X,\ \partial)$을 topological space(위상 공간)라고 한다. 집합 $X$의 각 subset의 boundary를 무엇으로 삼을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위상을 주면 서로 다른 위상 공간이다. 예를 들어 $\R^2$에서 사각형의 경계가 네 모서리인지는 주어진 위상에 따라서 다르다. 주어진 위상을 언급하지 않고 위상 공간 $\R^n$처럼 쓸 때에는 집합에 standard topology가 주어진 것이다. 문맥에 따라서 적절한 common topology[1]들이 있으며 이들을 편의상 생략해 쓰고는 한다.

위상 공간이 있으면 대개는 위상 공간의 정의만을 생각하지 않는다. separation axiom[2]이 성립하는지, metric에서 나온 위상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. metric, norm, inner product 등이 주어진 vector space는 위상이 주어진 vector space라는 뜻이며, 이들은 topological vector space(위상 벡터 공간)이다. 수학이나 물리학에서 공간이라는 단어를 설명 없이 쓸 때에는 위상 공간이나 벡터 공간, 또는 위상 벡터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.

boundary

성질들

  • $\partial A\subset\partial(X-A)$의 $A$에 $X-A$를 대입하면 $\partial(X-A)\subset\partial A$이다. 즉 여집합의 경계는 일치하므로 $A\cap\partial A=\partial A$를 가정하면 $(X-A)\cap\partial A=\varnothing$이다.
  • $\partial A\subset A\cup\partial A$의 $A$에 $A\cup \partial A$를 대입하면 $\partial\partial A\subset (A\cup \partial A)\cup\partial(A\cup\partial A)$이다. 첫 번째 조건을 적용하면 $\partial\partial A\subset A\cup\partial A$이고 $A$에 $X-A$를 대입하면 $\partial\partial A\subset (X-A)\cup\partial A$이므로 $\partial\partial A\subset \partial A$이다.
  • $A\cap\partial A=\partial A$를 가정하면 $X-A\subset X-\partial A$이다. 두 번째 조건을 적용하면 $\partial(X-A)\subset (X-\partial A)\cup\partial(X-\partial A)$이고 $\partial A\subset (X-\partial A)\cup\partial\partial A$이다. 그런데 $\partial A\cap (X-\partial A)=\varnothing$이므로 $\partial A\subset \partial\partial A$이다. $A\cap\partial A=\partial A$일 때 $\partial\partial A=\partial A$이므로 $\partial\partial\partial A=\partial\partial A$이다. 일반적으로는 $\partial A\neq \partial (A\cup\partial A),\ \partial A\neq \partial (A-\partial A)$이다. 예를 들어 $\R$에서 $\partial \Q=\R$이고 $\partial \R=\varnothing$이다.

closure

$A\cup\partial A$를 $A$의 closure(폐포, 닫힘)라 하고 $\overline{A}$로 쓴다. boundary를 부여하는 함수로부터 closure를 부여하는 함수의 조건을 얻을 수 있다.

  1. $A\subset B$를 가정하면 두 번째 조건을 적용하여 $\partial A\subset B\cup\partial B$이고 가정에 따라서 $A\cup\partial A\subset B\cup\partial B$이다. 따라서 $\overline{A}\subset\overline{B}$이다.
  2. $\overline{\overline{A}}=(A\cup \partial A)\cup\partial(A\cup\partial A)$에 세 번째 조건을 적용하면 $\overline{\overline{A}}\subset A\cup\partial A\cup\partial\partial A$이고 첫 번째 조건을 적용하면 $\overline{\overline{A}}\subset\overline{A}$이다. $A\subset \overline{A}$이므로 $\overline{\overline{A}}=\overline{A}$이다.
  3. 세 번째 조건에 따라서 $\overline{A\cup B}\subset\overline{A}\cup\overline{B}$이다. $A\subset A\cup B,\ B\subset A\cup B$이므로 두 번째 조건을 적용하여 $\overline{A\cup B}=\overline{A}\cup\overline{B}$이다.

interior, exterior, open, closed, clopen

집합 $X$가 위상 공간이면 모든 subset $A$마다 경계, 폐포, 내부, 외부를 알 수 있어야 하고, open set, closed set, clopen set인지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. open set도 closed set도 아닌 subset은 boundary의 일부를 가지는 집합이다.

  • $A-\partial A$를 $A$의 interior(내부) $A^{\circ}$, $(X-A)-\partial A$를 $A$의 exterior(외부)라고 한다.
  • $A^{\circ}\subset A\subset \overline{A}$이고 $A^{\circ}\subset \left(\overline{A^{\circ}}\right)^{\circ}\subset \overline{\left(\overline{A}\right)^{\circ}}\subset \overline{A}$이다. $\left(\overline{A^{\circ}}\right)^{\circ}\subset \overline{A^{\circ}},\ \left(\overline{A^{\circ}}\right)^{\circ}\subset\left(\overline{A}\right)^{\circ}$이고 $\overline{A^{\circ}}\subset\overline{\left(\overline{A}\right)^{\circ}},\ \left(\overline{A}\right)^{\circ}\subset\overline{\left(\overline{A}\right)^{\circ}}$이다.
  • $\partial A\cap A=\varnothing$일 때 $A$를 open set(열린 집합)이라고 한다. 즉 열린 집합은 boundary를 가지지 않는 집합이다.
  • $\partial A\cap A=\partial A$일 때 $A$를 closed set(닫힌 집합)이라고 한다. 즉 닫힌 집합은 boundary를 온전히 가지는 집합이다.
  • $\partial A=\varnothing$일 때, $A$를 clopen set이라고 한다. 즉 열린 집합이면서 닫힌 집합이면 boundary를 가질 수 없는 집합이다.

open set

위상 공간 $X$의 topology(위상)를 정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다. boundary를 부여하는 함수 $\partial$을 $X$의 위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. 그런데 boundary, open set, closed set, neighborhood, closure, interior 등 위상 공간에서 나오는 기본 요소들 가운데 동치인 조건들로 하나만 정의하면 자연스럽게 나머지 모두를 정의할 수 있다. 대개는 boundary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집합, 즉 open set들의 집합을 $X$의 위상이라고 한다. 조건이 간결하며 function을 만들기보다 집합의 원소를 직접 넣는 편이 편할 때가 있다.

  1. $\varnothing,\ X$는 open set이다.
  2. open set의 유한 교집합은 open set이다.
  3. open set의 유한, 무한 합집합은 open set이다.

De Morgan's laws에 따라서 closed set이 만족하는 조건을 알 수 있다.

  1. $\varnothing,\ X$는 closed set이다. 즉 이들은 clopen이다.
  2. closed set의 유한, 무한 교집합은 closed set이다.
  3. closed set의 유한 합집합은 closed set이다.

교집합과 합집합에 관한 조건이 다르다는 사실은 극한과 연결지을 수 있다. $\R^n$의 열린 집합 안에서는 열린 집합을 벗어날 수 없게 하는 (작은) 움직임의 한계를 정할 수 있지만, 닫힌 집합 안에서는 경계에 있다면 움직임의 한계가 $0$일 수밖에 없다. open set을 무한 교집합하면 주어진 위상에 따라서 closed set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.

closure로부터 closed set의 조건을 유도할 수 있음을 증명해 보자.[3] closure를 부여하는 함수의 두 번째 조건에 따라서 $\overline{\varnothing}=\varnothing,\ \overline{X}=X$이다. 세 번째 조건을 적용하면 유한 합집합은 closed set이다. closed set $C_i$들을 유한, 무한 교집합한 결과를 집합 $C$라고 할 때 모든 $C_i$에 대해서 $C\subset C_i$이다. 첫 번째 조건을 적용하여 $\overline{C}\subset\overline{C_i}$이고 가정에 따라서 모든 $C_i$에 대해서 $\overline{C}\subset C_i$이다. 즉 $\overline{C}$는 $C_i$들을 유한, 무한 교집합한 결과인 $C$의 subset이므로 $C$는 closed set이다.

역으로 각 subset $A\subset X$에 대해서 $\mathcal{A}=\{B\subset X \mid A\subset B\}$를 생각하여 $\mathcal{A}$에 속하는 closed set들을 유한, 무한 교집합한 결과를 $A$의 closure로 정의할 수 있다. 그러면 $A$의 boundary는 $\overline{A}\cap\overline{X-A}$이다.

neighborhood

$A\subset N-\partial N$인 $N\subset X$을 $A$의 neighborhood(근방)라 하고 singleton $\{x\}$의 neighborhood들의 집합을 $\mathcal{N}_x$라 한다. neighborhood가 open set일 조건은 $A\subset N$인 open set $N$이다.

  • $A\subset X$에 대해서 singleton $\{x\}\subset X$의 모든 (작은) (open) neighborhood가 $x$를 제외하고 $A$와 한 개 이상의 점을 공유할 때, 즉 $x$가 $A$에서 극한값이 될 수 있을 때 limit point(극한점)라 한다. 이러한 $x$들의 집합 $A'$를 $A$의 derived set(유도 집합, 도집합)이라고 하며 $A'\subset\overline{A}$이다. $x\in A-A'$를 $A$의 isolated point(고립점)라고 하며 singleton $\{x\}$가 open일 때 $x\in X-X'$이다.
  • subset이 open인지 closed인지는 universe에 따라서 상대적이다. $B\subset X$에서 $A\subset B$가 open이라는 것은 $B\cap C=A$인 open set $C\subset X$를 잡을 수 있다는 뜻이고, closed set도 마찬가지이다. 예를 들어 $\R$의 standard topology에서 $B=\{1\}\cup (2,\ 3]$를 전체 집합처럼 생각하면 $\partial B=\varnothing,\ \partial\{1\}=\varnothing,\ \partial\{3\}=\{3\}$이다. 따라서 $\{1\}$은 $A$에서 clopen이고 isolated point이다. 여기에서는 derived set과 isolated point들의 합집합이 $\overline{A}$를 이룬다. 일반적으로는 isolated point가 boundary이거나 interior일 수 있다.
  • $A\cup A'=X$일 때, 즉 $\overline{A}=X$일 때 $A$는 $X$에서 dense(조밀)라 한다. 예를 들어 $\R$의 standard topology에서 각 무리수의 open neighborhood는 주위의 유리수를 가지고, 각 유리수의 open neighborhood는 주위의 무리수를 가지므로 유리수 집합과 무리수 집합은 실수 집합에서 dense이다.

neighborhood로부터 boundary와 open set을 유도할 수 있음을 증명해 보자. 각 subset $A\subset X$에 대해서 $\mathcal{A}=\{B\subset X \mid A\subset B\}$는 relation $\subset$이 주어진 partially ordered set $\mathcal{P}(X)$의 nonempty subset으로서 다음이 성립한다.

  • 모든 finite subset order에 lower bound가 존재한다. 즉 모든 $x,\ y\in\mathcal{A}$에 대해서 $z\subset x,\ z\subset y$인 $z\in\mathcal{A}$가 있다.
  • $X$의 subset으로서 superset에 대해서 닫혀 있다. 즉 모든 $x\in\mathcal{A}$에 대해서 $x\subset y\subset X$이면 $y\in \mathcal{A}$이다.

이러한 $\mathcal{A}$를 $X$의 filter(필터)라고 한다. $X$의 모든 filter들의 집합을 $\mathcal{F}(X)$로 쓰면 neighborhood는 함수 $\mathcal{N}:X\to\mathcal{F}(X)$이다. $\mathcal{N}_x$는 filter의 조건을 만족시키고, 또한 모든 $N_x\in\mathcal{N}_x$는 $N_x\in\mathcal{N}_a$인 적당한 $a$들의 집합 $A\in\mathcal{N}_x$를 subset으로 가진다. 이제 모든 $N_x\in\mathcal{N_x}$에 대해서 $N_x\cap A\neq\varnothing$이면서 $N_x\cap(X-A)\neq\varnothing$인 점 $x$들의 집합을 $\partial A$로 정의할 수 있고, 모든 $x\in A$에 대해서 $A\in \mathcal{N_x}$일 때 $A$를 open set으로 정의할 수 있다.

Hausdorff space

Hausdorff는 근방을 통해서 위상을 정의하였는데 본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여야 위상 공간이라고 했다.[4]

점을 공유하지 않는 두 근방이 존재한다. 즉 모든 점 $x,\ y$에 대해서 $x\neq y$이면 $N_x\cap N_y=\varnothing$인 $N_x,\ N_y$가 있다.

이러한 위상 공간을 Hausdorff space(하우스도르프 공간) 또는 $T_2$ space라 한다. 모든 superset들이 filter 전체를 이루는 coinitial set을 filter basis라 할 때 Hausdorff space는 모든 proper filter의 filter basis가 하나 이하의 $x$에 대해서 $\mathcal{N}_x$의 filter basis를 가진다. 즉 Hausdorff space에서 proper filter들은 limit가 존재하면 유일하다.

모든 maximal proper filter의 filter basis가 하나 이상의 $x$들에 대해서 $\mathcal{N}_x$의 filter basis를 가지는 위상 공간을 compact space라 한다. 즉 compact Hausdorff space에서 ultrafilter들은 limit가 유일하게 존재한다.[5] compactness는 finiteness에서 discreteness를 나누어 내고 남은 성질처럼 여길 수 있다.[6] 대개는 공간 전체를 집합들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때, 그것이 가능한 어떤 open set들의 집합이더라도 무한 합집합을 쓸 필요가 없으면 compact space라고 한다. topological property로서 다양한 종류의 compactness가 있다.[7]

연속 함수

어떤 함수가 연속 함수인지 아닌지는 정의역과 공역에 주어진 topology에 따라서 다르다. 함수 $f:X\to Y$가 점 $a\in X$에서 연속이라는 것은

점 $f(a)\in Y$의 모든 근방 $N_{f(a)}\in\mathcal{N}_{f(a)}$에 대해서, 모든 $x\in N_a$에 대해서 $f(x)\in N_{f(a)}$인 $N_{a}\in\mathcal{N}_{a}$가 존재한다.

는 뜻이다. 여기에서 $N_{f(a)}$는 위상 공간 $Y$에 주어진 근방이고 $N_{a}$는 위상 공간 $X$에 주어진 근방이다. 마찬가지로 다른 기호들도 어떤 집합에 관한 것인지 편의상 생략해 쓰고는 한다. $f$가 정의역의 모든 점에서 연속이면 특정한 위상 공간에서 특정한 위상 공간으로 가는 continuous function(연속 함수)이다. 이는 위상 공간에서 나오는 기본 요소들 가운데 하나로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다:

  • $f$는 모든 점에서 continuous이다.
  • $Y$의 모든 subset $A$에 대해서 $\partial f^{-1}(A)\subset f^{-1}(\partial A)$이다.
  • $X$의 모든 subset $A$에 대해서 $f(\overline{A})\subset\overline{f(A)}$이다.
  • $Y$의 모든 open set $A$에 대해서 $f^{-1}(A)$는 open set이다.
  • $Y$의 모든 closed set $A$에 대해서 $f^{-1}(A)$는 closed set이다.

연속 함수의 inverse function이 존재하여 inverse function도 연속 함수이면 homeomorphism(위상 동형 사상)이라고 한다. 그러한 함수가 존재하는 두 topological space $X,\ Y$를 homeomorphic(위상 동형)이라 하고 $X\cong Y$로 쓴다. 즉 연속 함수는 topological space들의 category에서 homomorphism이다.

homeomorphic의 예시로 손잡이가 달린 컵과 도넛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는 특별한 경우이다. 직관적인 continuous deformation는 연속 함수와 다를 수 있다. 예를 들어 모든 knot은 circle과 homeomorphic이다.

metric, norm, inner product

$\R^3$의 두 점 $x,\ y$ 사이의 metric(거리)을

$d(x,\ y)=\sqrt{(x_1-y_1)^2+(x_2-y_2)^2+(x_3-y_3)^2}$

로 정의할 때 각 $x_0\in\R^3$과 $r>0$에 대해서 open ball $T_{(x_0,\ r)}=\{x\in\R^3\mid d(x,\ x_0)<r\}$들의 유한, 무한 합집합을 open set이라 하면 $\R^3$은 위상 공간을 이룬다. 이 위상은 base $T_{(x_0,\ r)}$들이 generate한다. 이제 norm(노름)을 Pythagorean theorem에 따라서

$\|x\|=d(x,\ 0)=\sqrt{x_1^2+x_2^2+x_3^2}$

로 정의할 때 $T_{(x_0,\ r)}=\{x\in\R^3\mid \|x-x_0\|<r\}$들이 위상을 generate한다. 또 inner product(내적)를 polarization identity(극화 항등식)에 따라서

$\displaystyle \langle x,\ y\rangle=\frac{1}{4}(\|x+y\|^2-\|x-y\|^2)=x_1y_1+x_2y_2+x_3y_3$

로 정의할 때 $T_{(x_0,\ r)}=\{x\in\R^3\mid \sqrt{\langle x-x_0,\ x-x_0\rangle}<r\}$들이 위상을 generate한다. 이렇게 모든 inner product space는 normed space이고, 모든 normed space는 metric space이고, 모든 metric space는 topological space이다.

참고 자료